티스토리 뷰
매달 빠짐없이 나가는 돈이 있는데, 정작 어디에 쓰는지도 모를 때가 많습니다.
특히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쿠팡 와우 같은 구독 서비스는 한번 가입하고 나면 자동결제로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어느 날 문득 통장 내역을 보다가 놀랐습니다. "내가 이걸 아직도 쓰고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상에서 흔히 쓰는 구독 서비스가 어떻게 지출을 키우는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1. "구독"이 왜 위험할까? 지속 결제가 만드는 무감각
구독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자동결제입니다. 한 달에 몇 천 원, 많아야 1~2만 원이라 부담 없어 보여도, 이게 5개, 6개 쌓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심리적으로는 적은 금액이니까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고, 실제로는 한 달에 3만 원에서 5만 원 이상이 빠져나갑니다. 문제는 이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지도 않으면서 그대로 결제를 유지하는 경우입니다. 익숙함에 속아 불필요한 지출을 놓치고 있는 셈이죠.
2. 나도 모르게 빠져나가는 돈, 구독 내역부터 확인하세요
먼저 해야 할 일은 내가 어떤 구독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카드사 앱이나 토스, 뱅크샐러드 같은 앱에서 자동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뱅크샐러드는 '구독 관리' 메뉴를 통해 현재 어떤 서비스에 얼마가 빠져나가고 있는지 한눈에 보여줍니다.
확인해 보면 생각보다 많이 나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 네이버플러스, 쿠팡 와우, OTT 등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가입해서 쓰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3. 유지할 구독과 해지할 구독, 이렇게 구분하세요
모든 구독을 해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순히 '안 쓰는 구독'뿐 아니라, 중복되는 서비스, 유사 기능을 가진 앱도 정리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를 동시에 구독하고 있는데 자주 보는 건 하나뿐이라면, 나머지는 해지해도 괜찮습니다.
반대로 자주 활용하거나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라면 유지해도 됩니다. 중요한 건 스스로 기준을 세우고 판단하는 습관입니다.
저는 유튜브 프리미엄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정리했습니다. 한 달에 3만 원이 줄었고, 심리적으로도 훨씬 정돈된 느낌이 들었습니다.
4. 자동결제 차단 & 관리 앱 추천
마지막으로는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결제를 원천 차단하는 카드사 서비스(일부 카드사 앱에서 가능)나, 구독 정리 알림을 보내주는 앱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뱅크샐러드', '머니플랜', '슬림페이' 등이 있습니다. 구독 서비스는 점검하지 않으면 계속 돈이 나가기 때문에, 이런 앱으로 월 1회 정기 점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지만 꾸준한 습관이 통장 잔고를 지켜줍니다.
습관 하나 바꾸면, 통장도 바뀝니다
구독 서비스는 편리하지만, 그만큼 무감각하게 빠져나가는 지출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구독 서비스 목록을 한 번 정리해 보세요. 작은 지출부터 챙기는 습관이 결국 자산관리의 시작입니다.
오늘 하루, 당신의 구독 서비스부터 정리해 보는 건 어떨까요?